수부

손목건초염
손목건초염은 손목의 엄지쪽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손목 엄지에 있는 두 힘줄 (장무지외전건, 단무지신건) 이 신전지대 아래를 지나면서 힘줄을 싸고 있는 막(건초)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손목건초염 증상
- 엄지손가락이나 손목이 붓고 통증이 있다.
- 엄지손가락 쪽으로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.
- 엄지손가락 손목의 힘줄을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.
- 손목을 움직이거나 엄지손가락을 굽힐 때 통증이 있다.
손목건초염 자가진단
엄지손가락을 감싸고 손목을 아래로 꺾었을 때 손목부분에 통증이 있다면
손목건초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
손목건초염 치료
보존적 치료
약물치료, 물리치료, 주사치료
수술적 치료
국소 마취하에 1cm 정도 절개하여 두꺼워져 있는 신전지대를 절개해 힘줄의 염증을 완화시키는 수술을 진행
- 약물치료 :
-
- 진통제 : 동통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입니다.
- 소염진통제 : 염증을 완화하는 작용과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모두 갖고있는 약 입니다.
-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: 통증완화 효과는 크지만, 부작용도 크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.
- 물리치료 :
-
- 냉·온 치료 : 냉찜질은 통증과 부종을, 온찜질로는 근육이완으로 통증을 완화시킵니다.
- ICT (Interference Current Therapy: 간섭전류치료) : 부드러운 전류로 근육통 완화합니다.
- TENS (경피신경자극치료) : 저주파 전기 자극법으로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.
- 초음파치료(Ultra Sound) : 초음파를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.
- 전기자극치료 : 마비된 근육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근육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- MS (근육 내 자극 치료법) : 미세한 전류로 자극하여 신경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
- CPM(지속적 수동적 운동장비) : 수술 후 초기에 지속적인 관절 범위 운동을 위해 적용합니다.
- 주사치료 :
-
- 하이알루론산 제재 : 관절액의 주된 성분으로, 1주일에 1번씩 3~5회 주사합니다.
- 스테로이드 제재 : 관절 속에 주입하며 아프고 붓는 증상에는 효과적 입니다.
- 바이오덱스 등속성 운동 :
- 바이오 덱스를 통한 재활운동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각도와 속도를 정해서 환자에게 맞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.
- 체외충격파치료 :
- 통증을 일으키는 부위에 충격파를 쏘아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치료법입니다. 혈관 재형성을 돕고 조직과 뼈를 활성해 통증 감소와 기능개선에 효과가 좋습니다.
- 관절내시경 :
- 관절 부위에 관절 내시경 및 수술기구를 관절 안으로 삽입하여 관절 내시경과 연결된 비디오 화면을 보면서 치료하는 수술법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장점입니다.
- 인공관절수술 :
- 관절염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수술법으로 움직임과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재건술입니다.
- 근위경골절골술(휜다리교정술) :
- 휜 다리를 교정하여 안쪽으로 치우쳐 있는 체중의 중심을 무릎 중앙에 맞추어 손상된 안쪽 연골의 추가 손상을 막고 무릎 통증을 줄여 주는 수술입니다.
- 줄기세포연골재생술 :
- 환자의 골수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농축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하여 연골 결손 부위에 주입하는 수술법입니다. 줄기세포로 손상된 연골 조직이 재생되면서 무릎 통증을 완화하는 원리입니다.
- 무지외반증수술 :
- 돌출된 엄지발가락(무지)의 뼈를 깎아 내고 안팎으로 치우친 뼈의 정렬을 바로잡은 뒤 짧아진 근육 및 연부 조직을 늘려 주어 재발을 방지하는 수술법입니다.
- 발목인대봉합술 :
- 끊어지거나 늘어난 발목 외측 인대를 복원하여 발목을 잡아 주는 수술로, 끊어지거나 늘어난 인대를 잘라 짧고 튼튼하게 봉합하고 주위의 질긴 막으로 보강하는 수술입니다.